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이야기

교사 연금 10년 수령액 (feat.33년)

반응형

교육 공무원으로 임용되어 10년 이상 재직하면서 교직의 어려움을 몸소 체험했지만 하나의 직업을 10년 이상 한다는 것은 분명 쉬운 일이 아니었다.

예전부터 적성에 썩 맞지 않는 공무원으로 하루하루를 보내는 것이 나에게는 괴로움이었고 교사 의원면직 절차를 밟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40대의 나이에 개인사업을 해보고 싶은 마음이 컸기 때문이다.

나는 그렇게 초등교사 의원면직을 감행했다.


이제 막 10년차를 넘어섰던 내가 교사로서 교육 공무원 연금 10년 수령액과 교육 공무원 연금 33년 수령액을 비교해보면서 몇 년이라도 더 버텨보다 의원면직을 할까 고민의 시간이 길었던 것 같다.

 

이제껏 잘 버텨왔고 다만 5년이라는 시간을 조금만 더 투자하여 20년간 근무 후 교사 연금을 받을 수 있다면 그만큼 미래의 재정적인 불확실성은 감소 할 것이기 때문이었다.

 

나도 내 미래가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불안한 나날의 연속이었다.

 

두렵지 않았다면 거짓이다.

 

하지만 나는 학교라는 갑갑함에서 벗어나고 싶었다.

아직 젊은 40대 초반의 나이가 아니라면 나는 젊은 시절에 꼭 해보고 싶은 사업, 나아가 내 마지막 열정을 태워보지 못할 것만 같은 불안감이 있었다.

 

결국 그 불안감이 내 뜻대로 나아가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다.

 

공무원으로 퇴직 후 사업을 한다는 것이 나의 예상만큼 순탄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누군가 만일 내게 당신의 의원면직이 실패냐 성공이냐?” 를 묻는다면 비교적 성공에 가깝다라고 말할 수 있 다.

 

성공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학교에서 근무하던 교사 수입보다 경제적으로 나아졌기 때문이고 비교적이라고 단서를 붙인 이유는 이러한 경제적 풍요가 교사의 직업 안정성 내지 평생 연금이라는 메리트를 이길 만큼 높지는 않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10년 이상을 교사로 학교현장에서 생활지도를 한 것도 대단한 일이고 하물며 33년을 아이들과의 시간을 감내하고 교사로서 퇴직 후 연금을 받으며 생활 한다는 것도 존경스러운 일이다.

 

 

 

 

 

 

그래서 나는 30년 또는 33년 근무 후 퇴직한 교사가 그만한 연금 수령액을 받는 것에 이견이 없다. 물론 교사 연금 300만원이라는 게 요즘 같은 어려운 경제 상황에 적은 돈이 아니라는 것은 동의 한다.

 

그리고 유경험자로서 많은 공무원들이 주장하는 교사 연금 반토막 이야기는 다소 과장된 면이 있다.

교사 연금 개혁으로 교사 연금 수령시기 및 교사 연금 지급개시연령에서 큰 손해를 보게 된 것은 분명 맞는 말이다.

 

교사 연금 수령 나이는 점차 늦춰져 60세에서 65세로 늘어나게 된다.

나는 14년 내지 15년 정도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였고 아주 높지 않은 교사 연금 수령액이지만 그것만으로도 감사한 마음으로 받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공무원 연금 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나처럼 의원면직을 준비 중인 교사 또는 공무원 여러분에게 말씀드리려 한다.

* 교사 연금 계산법

평균기준 소득월액 * 재직기간 * 연금지급률

교사 연금 계산법을 보면 상당히 어려운 내용 같지만 사실 계산기를 두드리는 것은 어렵지 않다.

 

나의 경우 평균 기준 소득월액이 대략 300만원 중 후반 대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첫 번째 변수인 평균 기준 소득월액에 대한 정확한 값은 개인적으로 나이스에서 조회하여 알아볼 수도 있고 또는 연말정산 때 행정실에 자료를 제출하면서 확인이 가능한 부분이다.

 

한 달에 어느 정도의 평균 소득인가 하는 부분으로 정확한 값은 당해 년도 5월을 시작으로 이듬해 4월까지의 총 1년 동안 평균 월급여로 계산하면 정확하다.

 

내 경우 교사시절 300만원 중 후반 대 월급여를 받았기에 380만원 정도로 계산해보겠다.

 

연금지급률은 나의 경우 2016년 퇴직하였기 때문에 당시 1.878%를 적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현직으로 계시는 교사 및 공무원들은 나보다는 작은 연금지급률을 적용하게 된다.

공무원 연금법이 개정되며 교사 연금 개혁이 이뤄졌고 주요안을 보면 2035년까지 단계적으로 지급률이 인하되기 때문이다.

 

https://naverrrr.tistory.com/6

 

공무원 연금법 (feat. 개정)

대선 주자들에 의해 또 다시 공무원 연금법 개정안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여러분이 공무원이라면 이 사안에 대해 관심을 기울 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10년 남짓한 교직생활동안 내가

naverrrr.tistory.com

2035년에 도달하면 지급률은 1.7%까지 하락한다.

 

이것을 내가 받는 지급률과 비교해보면 대략 10% 감소하는 셈이다.

물론 여러분이 나보다 받게 되는 공무원 연금 수령액이 작다는 뜻은 아니다.

그 이유는 공무원으로서 또는 교사로서 나보다 재직기간이 대부분 길 것이고 이것은 평균 기준 소득월액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나의 재직기간은 15년이 되지 않았고 교사로서 받게 되는 공무원 연금수령액이 작을 수 밖에 없다.

 

380만원 * 1.878 * 14 = 99909600

 

이 연금은 재직기간이 30년이 되고 40년이 되었을 때 늘어나게 되는데 앞서 설명했듯이 연금지급률이 낮아지되 물가상승률은 매해 반영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물론 나는 공무원 연금을 10년 이상 납입하였기에 재직 조건상 수령액을 받을 조건이 되기는 하지만 저기 계산된 공무원 연금을 아직은 수령할 수 없다.

공무원연금 수령시기가 아직 도달하지 못했고 공무원 연금 수령 나이는 퇴직 시점마다 다르지만 나의 경우 60세 이후로 수령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6년에서 2021년 사이에 의원면직한 나는 공무원 연금 수령 나이가 60세다.

그러나 교사 연금 지급개시연령은 퇴직연도가 언제이냐에 따라 공무원 연금 지급시기가 달라지게 된다.

보다 명시적으로 말하자면 2021년도 퇴직 공무원, 2023년도 퇴직 공무원, 2026년도 퇴직 공무원, 2029년도 퇴직 공무원, 2032년도 퇴직 공무원, 2033년 이후 퇴직 공무원으로 구분되어 연금 지급개시연령이 바뀌게 된다.

 

이에 대한 포스팅은 앞서 공무원 연금법 개정안을 통해 전한 바 있다.

이상으로 10년 교사 연금 수령액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다.

https://naverrrr.tistory.com/7

 

교사 명예퇴직금 계산

교사 명예퇴직금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나가도록 하겠다. 명예퇴직의 조건은 두가지다. 첫 번째는 공무원연금법 상으로 공무원으로 20년 이상 근속해야 한다. 두 번째는 정년을 기준으로 잔여기

naverrrr.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