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가 뜻을 설명하자면 교사 및 공무원이 사용할 수 있는 휴가의 한 가지로 공무원이 일반국민의 자격으로 국가기관의 업무수행에 협조하거나 법령상 의무의 이행이 필요한 경우에 부여받는 휴가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교사 및 공무원의 휴가제도는 공가를 포함하여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1) 연가 : 정신적·신체적 휴식을 취함으로써 근무능률을 유지하고 개인생활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하는 휴가 (2) 병가 : 질병 또는 부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전염병에 걸려 다른 공무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을 때 부여받는 휴가 (3) 공가 : 공무원이 일반국민의 자격으로 국가기관의 업무수행에 협조하거나 법령상 의무의 이행이 필요한 경우에 부여받는 휴가 (4) 특별휴가 : 사회통념 및 관례상 특별한 사유(경조사 등)가 있는 경우 부여받는 휴가 |
공가의 뜻을 살펴보았으니 이번에는 공무원 공가 규정(시간, 사유, 일수, 유급, 기준)등에 이야기해보자.

1) 학교의 장은 소속교원이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공가 규정 상 이에 직접 필요한 기간에 대하여 공가를 허가하여야 한다.
(가) 병역법 기타 다른 법령에 의한 징병검사·소집·검열점호 등에 응하거나 동원 또는 훈련에 참가할 때
(나) 공무에 관하여 국회·법원·검찰 기타 국가기관에 소환된 때
(다)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투표에 참가할 때
(라) 승진·전직 시험에 응시할 때
(마) 원격지간의 전보발령을 받고 부임할 때
(바)「산업안전보건법」제43조에 따른 건강진단 또는「국민건강보험법」제47조에 따른 건강검진을 받을 때
(사) 교원연수에관한규정 제13조에 의한 외국어 능력시험에 응시할 때
(아) 올림픽 전국체전 등 국가적인 행사에 참가할 때
(자) 천재·지변·교통차단 기타의 사유로 출근이 불가능할 때
(차) 혈액관리법시행령 제2조(헌혈의 권장)의 규정에 의하여 헌혈에 참가할 때
(카)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 제6조에 의한 단체교섭위원으로 참석할 때와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시행령 제3조제3항에 의한 교섭관련협의를 위하여 지명된 자로 참석할 때
(타)교육기본법 제15조에 의한 교원단체(예,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교원지위향상을위한교섭·협의에관한규정 제2조의 교섭·협의 당사자로 지명된 소속 교원이 교원지위향상을위한특별법에 의한 교섭·협의 위원으로 단체교섭 및 협약체결을 위해 참석할 때
(2) 공가제도의 운영상 유의사항을 통해 공가 규정(시간, 사유, 일수, 유급, 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가) 공가의 허가대상인 『직접 필요한 기간』에는 검사일·소환일·투표일·시험일 등의 당일에 왕복 소요일수를 가산할 수 있음.
(나) 전보의 경우 업무인계인수, 이사 등에 소요되는 최소한의 일수 포함.
(다) 건강진단시 재진료의 경우에도 공가 대상임.
(라) 행사 참가는 학교의 장이 선수·심판 등 공가활용이 불가피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한함.
(마)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 제6조에 의하여 교원노동 조합의 단체교섭권한을 적법하게 위임받은 단체교섭위원 및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시행령 제3조제3항에 의한 교섭관련협의를 위하여 지명된 자와 교육기본법 제15조에 의한 교원단체 소속 교원이 교원지위향상을위한특별법에 의한 교섭·협의 위원으로 지명된 자에 한하여 공가 처리됨.
※ 교원노조 및 교육기본법 제15조에 의한 교원단체의 소속 교원의 단체교섭과 관련된 공가기간은 단체교섭 및 교섭관련 협의에 직접 참가한 시간과 동 회의에 참석하기 위하여 필요한 이동시간을 포함하며, 단체교섭 및 교섭 관련협의를 위한 사전협의 등의 부대시간은 공가기간으로 인정될 수 없음
기간제 교사로 근무하면서 건강검진, 코로나 확진 및 검사, 사전투표, 백신접종, 헌혈 등의 사유로 공가 시간을 이용하는 교육공무원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공무원 공가일수는 법적으로 공무원에게 허용된 부분이기 때문에 무급이 아닌 유급으로 공가 급여를 제공받을 수 있으니 좋은 혜택이라는 생각이 든다.
교원은 건강검진 시 공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검진 후 확진검사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공가가 가능한지? |
○「교원휴가에 관한 예규」제7조(공가)제6호에 따르면 「산업안전보건법」제129조부터 제131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건강진단, 「국민건강보험법」제52조에 따른 건강검진, 「초·중등교육법」제21조의2제1호 및 「유아교육법」 제22조의2제1호에 따른 마약류 중독 검사 또는 「결핵예방법」제11조제1항에 따른 결핵검진 등을 받을 때 공가 사용이 가능합니다.
○ 다만, 수검 의무가 없는 검진(재검진, 2차검진, 확진검사 등 포함)은 공가 사유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 따라서, 「국민건강보험법」제52조에 따른 건강검진의 확진검사와 「결핵예방법」제11조제1항에 따른 결핵검진의 확진검사는 공가 대상이 아니며,「산업안전보건법」제129조부터 제131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건강진단 중 의무사항으로 규정된 확진검사는 공가 대상입니다.
예방접종 시 공가 사용이 되는지? |
○「교원휴가에 관한 예규」제7조(공가)제13호에 따르면 공무국외 출장 등을 위하여「검역법」제5조제1항에 따른 검역관리지역 또는 중점검역관리지역으로 가기 전에 같은 법에 따른 검역감염병의 예방접종을 할 때 공가 대상이 됩니다.
○「교원휴가에 관한 예규」제7조(공가)제14호에 따르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조의 제1급감염병에 대하여 같은 법 제24조 및 제25조에 따라 예방접종을 받는 경우에도 공가 대상이 됩니다.
- 제1급 감염병에 대하여 예방접종을 받는 경우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제1급 법정감염병에 한정하며, 인플루엔자 등 일반 독감 예방접종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 공가 시간은 접종기관으로 이동·복귀시간, 접종소요시간 등 예방접종에 직접 필요한 시간만큼만 부여하여야 합니다.
https://hellotalk.tistory.com/6
공무원 연금 수령액 예상 feat. 현직 교사
요즘 들어 학생인권은 중시되는 반면 끊임없는 교권추락으로 교사 명퇴자가 많아진다는 소식을 들으면 교직생활 10년이 조금 넘은 제게도 남일 같지 않게 느껴집니다. 10년 전과 현재의 학교가
hellotalk.tistory.com
'공무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0) | 2022.07.12 |
---|---|
공무원 경조사 특별휴가 일수 (0) | 2022.07.12 |
교직원공제회 골프장 요금 할인 예약 (2) | 2022.07.10 |
공무상 병가 신청 조건 기간 (feat.교사 공무원) (1) | 2022.07.10 |
교사 병가 진단서 월급여 일수 (0) | 2022.07.09 |